안녕하십니까.
지난 ‘역사 전쟁’이라 일컬어지는 태풍을 겪으며 많은 것들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것은 단지 한 나라의 과거를 바로잡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국경을 뛰어 넘어 과거와 현재의 세대, 그리고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와 앞으로 살아갈 세대의 진정한 화해는 바로 진실한 역사 인식의 공유라는 것을 시간을 거듭할수록 절실히 느끼게 됩니다.
결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없는 숙제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찾아가는 동안 만나는 많은 사람들과의 연대 활동은 서로의 고통과 고민을 공유하며 친구가 되어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 교육 현장에서 역시 역사를 가르치는 주체로서 역사 인식 공유를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각종 자료와 학교 수업 안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만든 것 또한 역사 왜곡 파동으로 인한 한일 상호 간의 불신 극복과,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입니다.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는 끊임없는 소통과 연대를 시도하며 진정한 역사 인식을 찾기 위한 여정에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혁



2019
9. 11. 인문사회연구소 연구과제 최종 선정
9. 17. 인문사회연구소 연구과제 협약
11. 03 ~ 05. 제50회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한국, 서울)
11. 26. 중국 중학교 역사교과서 분석 심포지엄(비공개)
2017
3. 16. 중국 공동교재 위원회 롱웨이무 위원 장례식
10. 28. 역사학대회
2015
11. 2 한중일 공동역사교재 실현을 위한 국제회의
(오키나와)
11. 29 한중일 공통교재 실현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12. 28 미래사총서 4권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위한
영토인식과 역사기억』 발간
2013
12. 22 제5차 한중일 공통교재 실현을 위한 전문가
워크샵
2011
11. 26 ~ 28 제10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중국 북경)
2009
6. 12 ‘지유샤판’ 역사 교과서 분석 심포지엄 개최
9. 4 ~ 8 제1회 한일 청년 평화포럼(일본 후쿠오카)
11. 22 ~ 23 제25회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일본 도쿄)
2006
5. 14 ~ 15 제15회 한중일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일본 도쿄)
11. 2 ~ 6 제5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교토대회(일본 교토)
2004
2. 18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창립
4. 29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비영리사단법인
설립
2018
1. 20.~21. 제45회 한중일 공동부교재 편찬위원회
국제회의(일본 베이징)
3. 4. 아라이 신이치 선생 추모회
3. 11. 롱웨이무 공동교재 위원 1주기 추모회
2016
07. 02 제40회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중국, 항주)
10. 20~ 공동교재 국제심포지엄(제주4.3평화교육센터)
제 15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제주대회(제주 칼호텔)
11월 한중일 공동부교재 3단계 작업 개시
2014
6. 17 3단계 공동교재를 위한 전문가 워크샵
11.1 제57회 역사학대회(서강대)
12.14 제6차 한중일 공통교재 실현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2012
2. 21 한중일공동역사서 마케팅회의
5. 29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발행
(휴머니스트 출판사)
6. 20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출간
기념 특강 ‘이제, 3국의 시선으로 동아시아를
읽는다!’ 1강 (19:00, 가톨릭청년회관)
9. 16 제4차 한중일 공통교재 전문가 워크샵
(일본 도쿄대학)
11. 26. 제35회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일본, 도쿄)
2010
9. 10 제2차 한중일 공통교재 실현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12. 28~30 제30회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중국 베이징)
12. 30 『한중일이 함께 만든 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
―미래를 여는 역사』영어판 출간
2008
1. 24 ~ 28 제20차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일본 도쿄)
2005
1. 28 ~ 31 제10회 한중일3국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국제회의(일본 도쿄)
5. 26 『한중일이 함께 만든 동아시아 3국의 근현대사
―미래를 여는 역사』 (한겨레신문사) 출판
기자회견 및 출판기념회
6. 9 후소샤 교과서 불채택을 위한 국제심포지엄
(서울)
10월 공익성기부금단체로 지정(재경부)
11. 3 ~ 6 2005년 후소샤 교과서 불채택운동 평가
심포지엄(강화도)